스파이더 웹 개발

마이크로 서비스와 스프링 클라우드 본문

MSA

마이크로 서비스와 스프링 클라우드

스파이더웹 2022. 9. 23. 01:30
728x90
반응형

Cloud Native Architecture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장점을 100% 활용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방법

 

특징

확장 가능한 아키텍쳐

  • 시스템의 수평적 확장에 유연 (더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됨)
  • 확장된 서버로 시스템의 부하 분산
  • 시스템 또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단위의 패키지
  • 모니터링

탄력적 아키텍처

  • 서비스 생성 - 통합 - 배포,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응 시간 단축(CI/CD를 통한 자동화로 인한 단축)
  • 분활 된 서비스 구조
  • 무상태 통신 프로토콜
  • 서비스의 추가와 삭제 자동으로 감지
  • 변경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사용자 요청 처리

장애 격리

  • 특정 서비스에 오류가 발생해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음

 

클라우드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4가지 핵심요소

1. CI/CD

2. DevOps

3. Containers

4. Microservice

 

 

1. CI/CD

지속적인 통합  CI(Continous Integration)

  • 통합 서버, 형상 관리, 빌드 도구, 테스트 도구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
  • ex) jenkins, Team CI, Travis CI

지속 배포 CD (Continous Deployment, Delivery)

  • 패키지화 한 서비스를 어떻게 배포하는지에 대한 pipe line
  • Continous Delivery
    • 실행 파일을 운영 서버로 지속 전달
  • Continous Deployment
    • Continous Delivery 뿐만 아니라 운영에 자동 반영되게 하는 것
    • 목적은 System의 Downtime을 최소화하는 것

ex) Jenkins, Team CI, Travis CI

 

서비스의 생성-통합-배포 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비즈니스 환경 변화 즉, 새로운 기능에 대한 배포와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인 개념이다.

 

2. DevOps

DevOps는 Developement와 Operations 를 합친 용어로 개발조직과 운영조직의 통합을 의미한다

 

3. Containers 가상화

가상화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쳐의 핵심이다. 기존의 로컬 환경에서,운영 유지 했던 시스템을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동해서 적은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게된 배경이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이다

 

 

 

참고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81%B4%EB%9D%BC%EC%9A%B0%EB%93%9C-%EB%A7%88%EC%9D%B4%ED%81%AC%EB%A1%9C%EC%84%9C%EB%B9%84%EC%8A%A4/dashboard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 인프런 | 강의

Spring framework의 Spring Cloud 제품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는 과정입니다. Cloud Native Application으로써의 Spring Clou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www.inflearn.com

 

728x90
반응형

'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ice Discovery  (0) 2022.09.28
모놀리식 vs MSA  (0) 2022.09.28
Cloud란?  (0) 2022.09.23
Comments